목회자 배출하는 신학교에 신학 없다?
“우리는 그동안 속아왔습니다. 신학교는 진리를 말하며 선을 실천하는 교회를 섬길 사람을 전문적으로 길러내기 위해 세워졌다고 들어왔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사회의 신학교를 나온 바로 그 정식 목사들이 무지하고 부도덕하기에 경멸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대신대학교, 총신대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예장 합동 교단의 진규선 목사가 지난 12일 한 기독언론에 ‘신학교에 입학할 필요가 없는 세 가지 이유’라는 기고문을 내고 교단 및 신학교의 폐해를 고발해 ‘목회자 배출 시스템’에 대한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신학교는 교단 정신만 익힌 오만한 ‘헌금도둑’ 양산”
진규선 목사는 돈과 시간을 들여 신학교에 입학할 필요가 없는 세 가지 이유에 대해 ▲신학교는 돈 낭비다 ▲신학교를 안가야 신학적 수준이 올라간다 ▲신학교를 졸업해도 인류에 도움이 안된다고 정리했다.
첫 번째로 신학교는 지나치게 많은 돈을 요구한다며, 일반적으로 목사가 되기 위한 신학대 코스로 7년간 5000~7000만원이 들어가므로 가난한 사람은 신학을 할 수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또한 신학교와 신앙의 성숙은 전혀 상관없으며, 국내 신학교는 교단이 정해 놓은 체계 외에는 이단시하고 경멸시하는 풍조의 ‘교단 정신’에 매여 있다고 고발했다. 그는 “신학교는 교단 정신을 내세워 그리스도인이 마땅히 지녀야 할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판단력을 마비시키고 정죄하기까지 한다”며, “국내 신학교는 질문들에 답을 주는 것이 아니다. 그와는 정반대로 정해진 질문을 던지게 하고 정해진 답을 하게 한다. 그리스도인이 당연히 가질 수 있는 모든 의문은 마녀로 취급되어 진리에 대한 마음은 화형을 당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신학교 교수들은 교단 정신에 매여 돈을 벌고 나이가 많으면 정치를, 나이가 어리면 인기를 사랑하는 사람들일 뿐”이라며, “교단 정신만을 익힌 사람은 ‘헌금 도둑’이 될 뿐이다. 그들은 진지한 소설이나 만화보다 못한 설교,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막말 설교, 심지어 표절 설교를 한다”고 교계의 현실을 고발했다.
그는 “신학교를 나와 봤자 사회와 인류에 도움을 줄 수 없다”며 “교단 정신의 위험성을 모른 채 학교에서 맹목적으로 수업을 이수한 자들은 대개 바보가 되어 명제 몇 가지를 외워 그것을 진리로 받아들이고 그것으로 모든 것을 판별하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진 목사는 진심으로 많은 사람을 신학교로부터 돌이키고 싶다며 신학교와 교단이 구조적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신학교 졸업자 중 90%는 교단 정신에 매여 ‘오만한 헌금 도둑’이 되거나 아니면 신학적 활동을 할 수 없는 기초생활수급자가 될 수밖에 없다”며, “집안에 돈이 없고 부모를 봉양하고 자식을 먹여야 한다면 신학교에 들어가지 말고, 신학생은 지금 당장 등록금을 반환받고 신학교를 자퇴하라”고 권고하며 글을 마쳤다.
한국교회 침체 원인은 신학 부재, 교육의 총체적 부실
난립한 수많은 무인가 신학교는 말할 것도 없고, 국내 각 교단마다 세운 신학교들을 비롯한 교육부 인가 신학교의 신학교육 부실에 대한 지적은 이미 교단 내 지도자들과 신학박사, 신학생들 사이에서 있어왔다. 한국교회의 쇠퇴와 타락은 목회자들의 자질부족으로 인한 타락의 결과이며, 목회자들의 문제는 결국 목회자를 양산해내는 신학교에 신학이 없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2012년 노영상 장로회신학대 기독교윤리학 교수가 한국교회를 진단하는 세미나에서 “오늘날 한국교회의 침체는 많은 부분 신학의 부재에 있다. 신학의 부재가 설교의 위기로 이어지고 대사회적 발언의 빈약함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또 지난해 9월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 대표회장 김경원)와 한국교회목회자윤리위원회가 ‘설교 표절, 왜 심각한 문제인가?’를 주제로 한 제27차 열린대화마당에서 정주채(한목협 서기) 목사는 “신학교 난립과 신학교육의 부실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설교자로서의 소양도 자격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목사가 되어 과중한 설교사역을 하게 되니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표절을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부산장신대학교 손영진 교수는 신학교 교육제도에 대한 기고문에서 “목회자 양성은 무엇보다 바른 인성이 중요하며, 바른 인성 위에 지성 곧 균형 잡힌 신학교육을 쌓아야 하며, 이러한 인성과 지성 위에 영성을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무인가 신학교의 경우는 더욱 부실한 교육내용과 단기 속성과정으로 수준 미달의 많은 목회자를 양산하고 있어 그 심각성을 우려하는 지적이 있어왔다.
국내 200여개 교단이 무인가 신학교로 목회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예장합동개혁 교단의 경우 15개의 무인가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인가 신학교에서는 돈만 내면 단기간에 목사 직분을 가질 수 있는 ‘목회자 속성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심지어 돈만 주면 유명 신학대학원 학위를 주고 목사자격까지 주는 ‘목사 학력 세탁’까지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대표회장 전병금 목사는 무인가 신학교 난립 문제에 대해 “신학교 교육의 질이 떨어진 결과 한국교회가 양적 성장에만 집착하는 ‘교회성장 지상주의’를 추구하게 됐다”고 비판했으며, 한국교회목회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손인웅 목사는 “무분별한 교단 분열, 무인가 신학교를 비롯한 교역자 양성기관과 교육의 총체적 부실이 기독교 신뢰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목회자 수급 불균형 문제도 심각
이렇듯 신학교육의 질적 하락이 심각한 가운데 무인가 신학교를 제외하고도 교단의 분열과 교세확장 경쟁으로 무분별하게 세워진 수많은 신학교에서 배출한 졸업생이 해마다 1만 2000명 정도라는 추산도 있으며, 장로교단을 대표하는 신학교인 총신대와 장신대에서만 매년 20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개신교가 급속도로 쇠퇴해 교인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어서 심각한 목회자 수급 불균형의 문제를 겪고 있다.
지난해 교단 총회 결산에서도 드러났듯이 예장 합동·통합·고신·합신, 기장 등 장로교의 대표적 교단만 보더라도 교인수가 현저하게 줄었으며, 반면에 목회자 수와 교회 수는 한 해 뿐 아니라 2000년대 들어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 결과 신학 교육과정을 마치고 목사 안수를 받고도 부임할 임지가 턱없이 부족해 ‘취업난’이 교회 안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10여 년 전부터 교세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지만 신학교를 운영하는 각 교단들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진규선 목사는 ‘신학교에 입학할 필요가 없는 세 가지 이유’ 기고문에서 “신학교를 졸업해 대부분 풀타임 사역자로 일하지만 그것도 대체적으로 40세가 넘으면 교회에서 쫓겨나고, 한 해 배출되는 목사의 수, 목사의 정년, 제도 교회의 수 등을 고려할 때 기존 교회에 청빙받을 확률이 매우 낮다”며, “청빙에 있어서 성직매매는 생각보다 만연한 그러나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밝혔다.
이렇듯 신학교가 지나치게 많고, 교인들의 영적 생명을 다루는 목회자를 길러내는데 신학교의 교육과정이 너무 부실해 부적격 목회자들을 양산하고 있으며, 목회자 수급이 체계적이지 않다는 등 신학교의 문제가 한국교회 전체의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신학교 문제가 한국교회에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인식한 교계 관계자들이 ‘인성교육과 영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교단들이 연합해 무인가 신학교를 규제해야 한다’, ‘신학교 수를 줄이고 신학생 입학률을 낮춰야 한다’, ‘신학교육 정상화를 위해 갱신해야 한다’는 등의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분열된 개신교 내부에서 앞으로 어떤 대책을 마련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자료 출처]
http://www.newsdream.net/sub_read.html?uid=6637§ion=sc1§ion2=%B1%B3%C0%B0
'기독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인관계 어려움 겪는 美 개신교 사모들 (1) | 2017.10.08 |
---|---|
종교강요 고발 ‘미션스쿨’ 기술시사회… 박광서 “강요 여전, 입시 때문에 반발 못해” (0) | 2015.01.29 |
[개종 교육에 관한 것] 탄원서(3) (0) | 2012.03.25 |
[개종 교육에 관한 것] 탄원서(2) (0) | 2012.03.24 |
[개종 교육에 관한 것] 강제개종교육 피해자연대 관련 사건(3) (0) | 2012.03.20 |